태태의 개발 일지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54)
      • Front (27)
        • HTML (9)
        • CSS (3)
        • JSP (6)
        • javascript (7)
        • jquery (2)
      • Backend (55)
        • JAVA (38)
        • Spring (8)
        • DB (8)
        • REDIS (1)
      • 클라우드 (1)
        • AWS (1)
      • 알고리즘 (33)
        • 백준 (24)
        • 프로그래머스 (9)
      • 형상관리 (2)
        • GIT (2)
      • 기타 (13)
      • 개인생각 (5)
      • 개발지식 (8)
      • TOOL (8)
      • OS (1)
  • 홈
  • 태그
  • 방명록
개발지식

도메인 뒤의 마법사, DNS 완전 정복

✅ DNS란 무엇인가요?DNS(Domain Name System) 는 우리가 입력하는 도메인 이름(예: google.com)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예: 142.250.206.46)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도메인 이름은 기억하기 쉽지만, 인터넷은 IP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합니다. 그래서 DNS는 사람과 컴퓨터 간의 소통을 연결해주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DNS가 없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DNS가 없다면,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복잡한 숫자로 된 IP 주소를 외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https://www.youtube.com 대신 → 142.250.206.46https://www.naver.com 대신 → 223.130.195.200불가능하죠. DNS는 ..

2025. 4. 6. 22:46
개발지식

시간 복잡도: 알고리즘 성능의 핵심 개념

1. 시간 복잡도란?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데 필요한 연산 횟수를 입력 크기(n)에 따라 분석하는 개념입니다. 즉,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입력 크기가 커질수록 연산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이 개념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개의 알고리즘이 있다면, 시간 복잡도가 더 낮은 알고리즘이 실행 속도가 빠르고 성능이 우수합니다.2. 시간 복잡도의 표기법: Big-O 표기법시간 복잡도는 보통 Big-O 표기법으로 표현됩니다. 이는 최악의 경우를 기준으로 연산량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주요 시간 복잡도 종류 및 설명표기법의미O(1)상수 시간 - 입력 크기와 상관없이 실행 시간이 일정함O(log n)로그 시..

2025. 4. 2. 22:25
개발지식

CSRF (Cross-Site Request Forgery): 단순 방어법으로 충분할까?

1. CSRF란 무엇인가?CSRF(Cross-Site Request Forgery)는 공격자가 피해자의 세션을 이용해 의도치 않은 요청을 보내도록 유도하는 웹 보안 취약점이다. 이 공격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인증된 상태를 악용해 비밀번호 변경, 송금, 게시물 작성 등 중요 액션이 수행될 수 있다.하지만 CSRF를 단순히 '토큰 추가'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이 글에서는 CSRF의 근본 원인과 기존 해결책의 한계를 분석하고, 보다 견고한 방어 전략을 제시한다.2. 왜 CSRF가 발생하는가?CSRF는 웹의 기본적인 인증 방식에서 비롯된다.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세션 쿠키를 사용한다. 문제는 브라우저가 같은 도메인의 요청이라면 자동으로 쿠키를 포함시킨다는..

2025. 3. 31. 23:30
개발지식

DNS란 무엇인가? 인터넷 주소의 비밀을 파헤치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우리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인터넷은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사용해 통신합니다. 이때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해 주는 시스템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1. DNS란?DNS는 도메인 이름을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식(예: google.com)으로 유지하면서, 실제로는 해당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예: 142.250.74.206)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네트워크의 전화번호부"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DNS의 주요 역할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할 때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가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반환합니다.트래픽 부하 분산: 대형 서비스는 여러 개의 서버를..

2025. 3. 30. 19:22
개발지식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완벽 가이드: 개발자를 위한 최적의 설정법

WSL이란?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에서 네이티브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별도의 가상 머신이나 듀얼 부팅 없이도 리눅스 배포판을 실행할 수 있어 개발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WSL을 사용하는 이유1. 가벼운 리눅스 환경WSL은 가상 머신보다 가볍고 빠르게 실행됩니다. 2. 개발 환경의 일관성 유지Windows와 Linux 환경을 오가며 작업하는 개발자에게 WSL은 최적의 솔루션입니다.3. Docker, Git, SSH 활용 용이WSL을 활용하면 Windows에서 Docker, Git, SSH 등의 리눅스 기반 도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WSL 설치 및 설정1. WSL 설치먼저 WSL을 설치하려면 Window..

2025. 3. 27. 22:33
개발지식

Docker란? 컨테이너 기술의 혁신과 활용법

🚀 Docker의 핵심 개념과 활용법Docker는 컨테이너 기술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입니다. 많은 개발자가 Docker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본적인 개념이나 명령어 사용법만 익히고 깊이 있는 활용법까지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순한 설치 방법을 넘어, Docker가 제공하는 주요 개념과 실무에서의 활용법을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1️⃣ Docker의 철학: "Build, Ship, Run"Docker는 컨테이너화(Containerization) 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개념은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인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관된 환경 제공: ..

2025. 3. 24. 23:22
  • «
  • 1
  • 2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54)
    • Front (27)
      • HTML (9)
      • CSS (3)
      • JSP (6)
      • javascript (7)
      • jquery (2)
    • Backend (55)
      • JAVA (38)
      • Spring (8)
      • DB (8)
      • REDIS (1)
    • 클라우드 (1)
      • AWS (1)
    • 알고리즘 (33)
      • 백준 (24)
      • 프로그래머스 (9)
    • 형상관리 (2)
      • GIT (2)
    • 기타 (13)
    • 개인생각 (5)
    • 개발지식 (8)
    • TOOL (8)
    • OS (1)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java #trywithresources #java예외처리 #autocloseable #자원관리 #java개발 #java기초 #예외처리 #개발자팁 #프로그래밍 #javabestpractices #코딩공부 #자바 #자바공부 #javatips
  • #인텔리제이 svn
  • #db데드락
  • #Java
  • #인텔리제이 svn error
  • ##dependencyinjection #di #의존성주입 #spring #springboot #java #백엔드개발 #backend #디자인패턴 #개발자팁 #소프트웨어아키텍처 #테스트코드 #유지보수성 #결합도감소 #코딩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머스
  • ##wsl #windowssubsystemforlinux #linuxonwindows #개발환경 #docker #vscode #백엔드개발 #wsl설정 #개발자팁 #프로그래밍
  • #svn commit error
  • #오라클
  • ##java #java개발 #java프로그래밍 #강한참조 #약한참조 #부드러운참조 #메모리관리 #gc #가비지컬렉션 #프로그래밍 #백엔드개발 #개발자팁 #코딩 #springboot #javareference
  • ##seo #검색엔진최적화 #웹사이트속도 #도메인최적화 #웹성능
  • ##시간복잡도 #bigo #알고리즘 #자료구조 #코딩테스트 #컴퓨터과학 #프로그래밍 #개발자 #코딩 #소프트웨어개발 #시간복잡도분석 #성능최적화 #java #python #cs
  • ##dns #도메인네임시스템 #네트워크 #인터넷기반기술 #dns설정 #dns보안
  • #백준
  • #git
  • #Thymeleaf
  • ##redis #redisdb #nosql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db #웹개발 #백엔드개발 #서버개발 #캐싱 #세션관리 #실시간데이터 #redis설치 #redis활용 #클러스터링 #오픈소스
  • #e170004
  • #비관적락
  • ##csrf #웹보안 #보안취약점 #jwt #samesite #cors #해커 #웹개발 #개발자팁 #보안강화
  • #자바
  • ##vscode #intellij #ide비교 #개발툴 #개발자팁 #단축키정리 #생산성향상 #프로그래밍툴 #개발자블로그 #개발자성장 #코딩효율화 #리팩토링 #디버깅팁 #springboot개발 #프론트엔드개발 #백엔드개발 #개발환경 #코딩툴추천
  • ##dns #도메인네임시스템 #dns란 #웹기초지식 #웹개발자팁 #개발자블로그 #백엔드개발 #프론트엔드개발 #웹성능최적화 #seo최적화 #dns작동원리 #dns서버 #dns보안 #dnsoverhttps #dns최적화 #ttl #dig #nslookup #cdn #도메인과ip #기술블로그 #개발자공부 #코딩블로그
  • ##무중단배포 #zerodowntimedeployment #배포전략 #bluegreendeployment #canarydeployment #rollingdeployment #featuretoggle #ci_cd #소프트웨어개발 #서비스운영 #웹개발 #devops #kubernetes #클라우드 #배포자동화
  • ##java #spring #springboot #vscode #java개발 #spring개발 #개발환경 #intellij #eclipse #백엔드개발 #프로그래밍 #개발자 #코딩 #ide #소프트웨어개발 #웹개발 #풀스택개발
  • ##docker #컨테이너 #devops #백엔드개발 #ci_cd #소프트웨어개발 #클라우드 #개발자팁 #웹개발 #서버운영
  • ##스프링부트파일업로드 #스프링파일다운로드 #spring파일업로드예제 #java파일업로드다운로드 #springboot예제코드
  • #낙관적락
  • #spring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태태의 개발 일지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